
제후가 사실상 독립에 가까운 위치에 있었다면, 여러가지 연합에 의해서 여러 가지 모양의 세력 판도가 형성되어 있었을 것이다. 중심 정권인 하가 강력했을 때는 위협이 통했을 것이다. 그러나 힘이 약해지거나, 혹은 제후 가운데 의욕을 가진 적극적인 지도자가 나타나면 정권 유지가 어려워진다. 평판도 중요하다. 탕은 평판이 좋았다고 한다. 어느 날 탕이 밖으로 나가보니 들판에 새잡는 그물을 사팡으로 쳐놓고, "천하 사방에서 모두 내 그물로 들어와라!"라고 기도하는 자가 있었다. "아아, 이래서는 전부 잡혀 버리고 만다." 탕은 이렇게 말하고 세 방향의 그물을 거두게 한 뒤, " 왼쪽으로 가고 싶어 하는 것은 왼쪽으로 가게 하라. 오른쪽으로 가고 싶어 하는 것은 오른쪽으로 가게 하라. 명령을 듣지 않는 자만 내 ..

근대 사학자들 중에는 은을 하와 한데 묶어서 가공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은허의 발굴로 인해 은나라는 드디어 역사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프랑스의 동양학자로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나치스에 의해 학살된 마스페로가 고대 중국을 저술한 때는 은허를 처음으로 발굴하기 1년 전인 1927년이었는데, 은을 역사 시대의 시작으로 봤으니 과연 형안이라 할 수 있다. 은이라고 말하지만 은나라 사람들은 자신들의 나라를 '상'이라고 불렀다. 시조인 설이 하남성의 상이라는 나라에 봉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원전 13세기, 반경이 왕이었던 시절에 하남성 안양에 해당하는 은이라는 땅으로 천도했다. 그 이후로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270여년 동안 은이라는 곳에 있었기 때문에 은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현재..